비타민에대해서 당신은 얼마나 알고계십니까?
저도 그저 비타민은 건강보조제, 정도로만 알고 뭐 먹어도 그만 안먹어도 그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비타민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까지는요...하지만 비타민 우리 몸에서 꽤 많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량 필요하긴하지만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거나 극히 일부만 생성되어 꼭 외부에서 섭취를 해야만합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비타민의 정의
한줄로 요약하자면
비타민은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로, 많은 양이 필요하진 않지만 스스로 합성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음식을 통하여 섭취해야 하는 분자들입니다.
vitamin이라는 단어는 라틴어로 생명을 의미하는 vita와 amine이 결합되어 만들어졌습니다.
비타민은 소량으로 신체기능을 조절한다는 점에서 호르몬과 비슷하지만 신체의 내분비기관에서 합성되는 호르몬과 달리 외부로부터 섭취되어야 합니다. 비타민은 체내에서 전혀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체내 합성 여부에 따라 호르몬과 비타민이 구분되기 때문에 어떤 동물에게는 비타민인 물질이 다른 동물에게는 호르몬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타민 C는 사람에게는 비타민이지만 토끼나 쥐를 비롯한 대부분의 동물은 몸속에서 스스로 합성할 수 있으므로 호르몬입니다.
그렇다면 비타민은 과연 언제 발견 되었을까요?
비타민의 발견
비타민의 발견은 결핍증세와 비타민으로 나눠야합니다.
왜냐하면 비타민 결핍증세는 기원전 부터 기록이 있지만 비타민이라고 알려지고 발견된것은 불가 2~3세기밖에 돼지않습니다. 즉 결핍증세가 나타난 역사와 비교하면 아주 최근에 알려지고 발견된거죠!
그럼 정확히 역사상에 비타민결핍증세가 언제등장했을까요?
①이집트입니다.
기원전 1500년경, 이집트에서는 겨울 동안 신선한 야채가 아주 부족할 때 괴혈병이 발생했다는 내용이 파피루스에 기록돼 있습니다.
사막지형이 많다보니 겨울에 신선한 과일얻기가 어려웠을거라 생각됩니다. 괴혈병은 비타민 C부족으로 나타나는 결핍증상입니다
(파피루스는 식물 줄기로 만든 종이입니다.)
②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5세기경 괴혈병으로 인한 증상들과 죽음에 대해 묘사했습니다.
③13세기경 십자군을 이끌고 원정에 나섰던 프랑스의 왕 루이 9세가 퇴각한 것은 바로 치명적인 괴혈병 때문이었다.
(십자군 원정은 11세기~13세기 동안 8차례 파견합니다.로마 교황이 예루살렘을 탈환하기위한 이슬람과 벌인 전쟁이라고 요약할 수 있을거같습니다. )
④(15세기 초에서 17세기 중엽까지)
괴혈병이 치명적인 악명을 얻게 된 것은 소위 ‘탐험의 시대(Age of Exploration)’즉 대항해 시대 에 돌입하면서입니다.
국가 간에 경쟁하듯 길어진 바다항해 기간 길어져 과일보관이 어렵워 자연스럽게 섭취부족으로 결피증상이 나타났겠죠.
콜럼버스의 항해에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내려오고있는데요.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기 위해 항해를 하는 동안 몇 명의 포르투갈 선원이 괴혈병에 걸렸고.
그들은 콜럼버스에게 배에서 죽는 것보다 외로운 섬에서 생선만 먹다가 죽는 편이 낫다며 근처 섬에 내려달라고 애원했습니다. 몇 달이 지나 귀국하는 길에 그 섬 근처를 지나게 되었다.
죽었으리라고 생각했던 그 선원들은 건강한 몸으로 해변에서 손을 흔들며 기뻐하고 있었다. 배의 선원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그래서 콜럼버스는 신선한 과일이 풍부하였던 그 섬을 ‘고친다(cure)’라는 의미를 담아 ‘Curocoo’라는 이름을 붙였다. 구전이야기이여서 사실판단보다는 그냥 재미로 보시길 바람니다.
언제부터 비타민 결핍증상에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을까요?
즉 역사에서 처음으로 비타민이라 이름지어진 영양소의 존재를 인식했을까요?
당연히 그때당시는 비타민이라는 이름이 없어겠지만요.
비타민을 처음 연구한 인물은 영국 해군에서 군의관으로 근무한 제임스 린드(James Lind, 1716~1794)입니다.
일단 함대에 오르면 수개월이상 함대 내에서만 생활해야 하는 해군의 사정상 병사들의 식사 원료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해군 병사들에게 큰 문제가 되었던 질병중에는 비타민 C 결핍증인 괴혈병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관찰결과를 토대로 1747년에 레몬즙 섭취에 의해 괴혈병 예방이 가능하므로 레몬즙을 이용한 식이요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습니다.
이것이 훗날 비타민이라 명명되는 영양소의 존재가 역사에 처음 등장하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관찰과 경험을 바탕으로 녹색식물과 양파, 와인 등이 괴혈병 예방에 유용하다고 주장하였으며 1753년에 <A Treatise of the Scurvy>를 발표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경험에 의한 것이었고, 당시의 형편으로는 실험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므로 아무도 그의 주장에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습니다.
결국 린드가 세상을 떠나는 날까지 영국 군대에서는 레몬즙을 이용한 식이요법을 실시하지 않았고, 린드는 쓸쓸히 역사 속으로 사라져야만 했습니다.
공식적으로 처음 비타민의 발견을 인정한 주장 및 논문은 아이크만과 홉킨스입니다.
기준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여받았기때문입니다.비타민이라는 존재를 인식한건 린드지만 인정받지는 못한겁니다.
그럴만도한것이 비타민을 발표할 당시 큰 관심들이 없었던거같습니다.
왜냐하면 비타민 논문 발표한지 대략 20여년뒤에 공로를 인정받았으니까요.
1929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비타민을 발견한 네덜란드의 아이크만(Christiaan Eijkman, 1858~1930)과 영국의 홉킨스(Frederick Gowland Hopkins, 1861~1947)에게 돌아갔습니다.
노벨재단 홈페이지에 소개된 이들의 업적은 아이크만이 “항신경염(antineuritic) 비타민을 발견”한 것이었고, 홉킨스의 업적은 “성장을 자극하는 비타민”을 발견한 것이었습니다
아이크만(Christiaan Eijkman, 1858~1930)
1897년, 네덜란드의 아이크만이 현미와 백미로 만든 사료를 닭에게 공급하는 실험을 통하여 사료에 극미량 포함된 미지의 물질에 의해 각기병이 발생한다는 것을 증명
에이크만은 각기병의 원인이 쌀겨에 있는 어떤 물질의 결핍에서 기인됨을 확인했는데 이는 비타민 B1을 발견하는데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이 연구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양의 의학계에 크게 공헌했다.
192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여, 업적은 항신경염 비타민을 발견하것
홉킨스(Frederick Gowland Hopkins, 1861~1947)
1906년 영국의 영양학자 홉킨스는 동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단당류, 함수탄소, 지방 이외에 다른 영양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후
자연 식품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수적 영양소인자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부수적인 영양소가 동물에게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192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여, 업적은 성장을 자극하는 비타민을 발견하것
아이크만의 연구에 영감을 받은 후대 과학자들은 특히 쌀을 적극적으로 연구했습니다.
특히 훈크는 오늘날의 비타민의 시초인 티아민을발견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비타민'은 이분께서 이름지으신거죠.
훈크(Casimer Funk, 1884~1967)
그는 이 유기물을 ‘vitamine’이라고 명명하였다.
라틴어의 생명을 의미하는 vita와 amine의 합성어로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이라는 뜻에서다.
그러나 그 후 다른 화학자들에 의하여 모든 비타민들이 아민을 함유하고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그래서 vitamine의 마지막 e자를 제거할 것을 제안, 채택되어 지금까지 통용되어 오고 있다.
역사에 비타민이 언제 처음 등장했고 누가 연구하고 발견했는지 각 종 사이트를 찾아봐서 최대한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이어서 비타민 관련 종류 및 기능 등 정리해서 올려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사이트 및 사진
위키백과,두산백과/사진-Vasiliy Yakobchuk,Britannica,위키백과